올 상반기 누적변동률 0.12%로 보합세를 보이는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과 달리 토지가격 상승은 멈출 줄 모르는 분위기다. 지난 6월 기준 전국 지가변동률은 2.05%로 벌써 지난해 지가 변동률(3.88%)의 절반을 넘어섰다.
이처럼 전국 토지가격의 고공행진 이면에는 풍부한 거래량과 서울거주자의 원정거래가 한 몫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20일 부동산정보서비스 직방에 따르면 순수토지 월평균 거래량과 서울거주자의 원정거래 비율을 분석한 결과 서울거주자의 외지 거래 비율이 2015년 이후 갈수록 커졌다.
지난 6월 기준 전국 순수토지 월평균 거래량 중 서울거주자의 비율은 10.4%로 2015년 9.54%보다 0.86%포인트 늘었다.
실제 지난 6월까지 순수토지 월평균 거래량은 9만4400필지로 지난해(9만6726필지)와 비슷한 수준이며 2015년부터 2018년 6월까지 월평균 9만 필지이상 꾸준히 거래됐다.
특히 대전(2017년 578건→2018년 6월 717건)과 세종(2017년 876건→2018년 6월 1138건) 등 특정지역은 전년보다 거래 필지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
서울거주자의 외지 토지 원정투자 비율도 갈수록 커졌다. 지난 6월 기준 전국 순수토지 월평균 거래량 중 서울거주자 비율은 10.4%로 2017년 10.17% 대비 0.23%포인트 늘었다. 2015년 9.54%를 기록한 이후 매해 서울거주자 거래비율이 증가한 모습.
서울을 제외한 15개 광역자치단체 중에서는 인천·경기·충남을 제외한 12개 광역자치단체가 전년보다 서울거주자의 순수토지 거래 비중이 늘었다.
서울거주자의 순수토지 월평균 거래비중 증가는 주택시장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는 지방에서도 현저하다. 최근 정부의 부동산 수요억제책 완화 및 조정지역 규제해제 요구가 커진 부산의 경우 2015년 2.12%에서 2018년 6월 5.19%로 2배 이상 서울거주자의 토지 원정거래가 증가했다.
이는 전국에서 주택 미분양 재고가 가장 많은 경남(2018년 6월 1만4896세대)도 마찬가지. 2016년 2.52%였던 경남의 순수토지 서울거주자 월평균 거래비율은 올 들어 3.29%로 원정거래비율이 확대됐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 랩장은 “토지는 대출·세금·청약 등 정부 수요억제책의 집중포화와 입주물량 증가 등 공급과잉 우려를 빚는 주택시장과 달리 탄탄한 거래량과 서울의 외지인 수요가 꺼지지 않는 등 온기가 여전하다”며 “풍부한 유동자금과 대북경협 호재, 도시재생뉴딜사업, 택지개발로 인한 토지보상금 유입 등 지역의 개별호재에 민감한 원정투자가 아직 유효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